본 삼부토건(001470) 재무 분석에서는 주식 투자자들이 투자 전에 꼭 확인해야 하는 기업의 핵심 지표들을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매출액, 영업익, 순이익, 부채비율, EPS, BPS, ROE 등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실적을 측정하는 지표들로, 이러한 지표들을 토대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재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투자자들은 이번 분석을 통해, 기업의 재무상태와 실적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투자 결정을 위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삼부토건의 손익계산서와 주가 추이
삼부토건의 분기별 손익계산서입니다. 손익계산서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재무제표로, 일정 기간 동안의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보여줍니다. 손익계산서는 기업의 수익성과 수익성, 그리고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가 차트는 해당 기간 내 주가의 평균값이며 투자에 참고하기 쉽게 손익의 변동에 따른 주가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가 추이는 가장 최근인 22년 12월(4Q)에 1240원을 기록했으며 이전 분기에 비해 -16.22%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삼부토건의 최근 전체 재무제표 목록
삼부토건의 최근 전체 재무제표 목록이며 주식 평가, 차트 히스토리, 밸런스시트, 배당금, 실적 수치, 마진, 손익 계산에 관한 재무표입니다. 각 재무표 용어에 대한 자세한 해설은 아래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삼부토건의 매출액
삼부토건의 분기별 매출액 차트입니다. 매출액은 가장 최근인 22년 12월(4Q)에 1390억원을 기록했으며 이전 분기에 비해 +9.97%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삼부토건의 영업이익
삼부토건의 분기별 영업이익 차트입니다. 영업이익은 가장 최근인 22년 12월(4Q)에 -573억원을 기록했으며 이전 분기에 비해 +674.32%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삼부토건의 순이익
삼부토건의 분기별 순이익 차트입니다. 순이익은 가장 최근인 22년 12월(4Q)에 -658억원을 기록했으며 이전 분기에 비해 +656.32%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삼부토건의 부채비율
삼부토건의 분기별 부채비율 차트입니다. 부채비율은 가장 최근인 22년 12월(4Q)에 171.67%을 기록했으며 이전 분기에 비해 +63.16%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부채비율은 기업의 부채가 자본에 차지하는 비율을 측정한 것입니다. 부채비율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측정하는 좋은 지표이기도 합니다.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부채에 더 많이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위험할 수 있지만 성장이 빠른 기업의 경우에는 부채비율이 높기도 합니다.
부채비율이 너무 낮은 기업 역시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너무 낮은 부채비율은 불확실한 경제 환경에서도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을 수 있으므로 부채비율은 적정한 수준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업군마다 적정 부채비율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산업군에서의 비교를 통해 적정 수준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삼부토건의 EPS
삼부토건의 분기별 EPS 차트입니다. EPS(1주당 순이익)은 가장 최근인 22년 12월(4Q)에 -337원을 기록했으며 이전 분기에 비해 +632.61%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EPS(1주당 순이익)은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EPS가 높을수록 주당 이익이 많아지므로, 투자자들은 EPS가 높은 기업에 투자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실적을 평가하고 기업의 주가를 예측하는데도 활용됩니다.
삼부토건의 BPS
삼부토건의 분기별 BPS 차트입니다. BPS(1주당 자산 가치)는 가장 최근인 22년 12월(4Q)에 975원을 기록했으며 이전 분기에 비해 -34.7%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BPS(1주당 자산 가치)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B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자본금이 많아지므로, 기업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또한, BPS는 기업의 주가와 비교하여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데도 활용됩니다.
BPS는 다양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기업의 재무제표에서 자산총계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을 사용합니다. 또한, 기업의 자산의 실제 가치와 시장에서의 평가와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부채와 자산을 적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삼부토건의 자기자본이익률
삼부토건의 분기별 자기자본이익률 차트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은 가장 최근인 22년 12월(4Q)에 -27.83%을 기록했으며 이전 분기에 비해 +818.48%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한글로는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기업의 순이익을 지배주주의 지분에 대한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가 높을수록, 기업이 지배주주들의 투자에 대해 높은 수준의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OE는 기업의 경영 성과를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되며, 자기자본 회전율과 순이익 마진율을 곱한 지표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순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경영 전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